Tibero/아키텍쳐

Tibero 아키텍쳐 정리 2

havy 2022. 12. 22. 16:31

 

 
Tibero Database 구조 (물리 저장구조)

 

Tablespace 안에 Datafile,

Datafile 안에 Table, index (세그먼트라고 함, 여러 개의 datafile에 걸쳐있을 수 있음)

Select * from dba_segments 기억하기,,,,

 

Tempfile : order by, 인덱스 생성할 때 사용되는 tablespace

 

 

 

온라인 데이터 파일 및 오프라인 데이터 파일

- 어떤 데이터 파일을 더 이상 안쓸 때 오프라인으로 설정,,,데이터 파일의 이름이나 경로를 바꾸기 위해 사용 (잘 쓰지 않음)

 

 

 

데이터 파일 구조

 

 

물리 저장 구조

 

 

Online Redo Log Files : 복구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변경사항을 기록함.

리두 로그 그룹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순환하며 사용,

만약 Database운영 Mode가 ARCHIVELOG Mode일 경우 Log Switch가 일어날 때 log_archive_dest로 Copy되어져 향후 복구 시 사용됨

 

 

 
 
여러 개의 그룹과 한 개의 그룹 안에 여러 개의 멤버로 이루어짐

 

 

Archived Redo Log Files : Redo Log Files이 꽉차면 해당 파일들을 복사한 복사본을 사용,,

 

Control Files : - 데이터베이스 이름과 데이터베이스의 고유 식별자 (DBID)

데이터베이스 생성시각 - 데이터파일, 온라인 REDO로그, 아카이브 REDO로그 정보, 테이블스페이스 정보, RMGR 백업 정보

 

 

 

 

 

 

논리 저장 구조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UNDO 세그먼트

 

 

 

 

 

 

트랜젝션이 들어올 시 해당 트랜젝션을 소화하는 기능 (순환하며 사용)

 

 

 

 

 

 

HWM(High Water Mark) : 실제로 쓰는 양에 비해 많은 용량을 잡아먹는거,,,,DML 말고 DDL로 지워줘야함…

 

ROWID : 헁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자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물리적, 논리적 구조 총 정리

 

 

 

 

로그

 

Audit : 티베로안에서 행한 모든 행동을 감시하는 역할

 

Lsnr : Listener의 디버깅을 위한 파일이다. 리스너에서 일어난 중요한 일이 기록되는 파일이며, 리스너의 버그를 해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.

 

Dlog : db에 행한 전반적인 내용이 남음

 

Slog : 자세한 로그를 보면서 서버 성능이 저하되는 원인을 찾거나 티베로 자체 버그를 해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 (자주 봄)

 

ilog : 스레드별로 설정된 이벤트에 대한 시스템 로그가 기록되는 파일이며, Internal 로그를 보려면 tbiv를 이용해야 한다.

 

자세한 순서 dlog-slog-ilog

 

 

Callstack : 어떤 프로세스 어떤 쓰레드가 어떤 일을 했는지 기록된 것,,,

 

 

 

 

 
TAC
 
 
 
 
 
 
TSC

 

 

 

 

'Tibero > 아키텍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bdown 옵션 정리  (0) 2023.01.26
tbboot 단계 정리  (0) 2023.01.26
티베로 설치시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파일 정리  (1) 2023.01.19
HA (High Availability), TAC, TSC  (0) 2022.12.28
Tibero 아키텍쳐 정리 1  (0) 2022.12.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