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ostgreSQL에 접속하기 위해서 Client가 인증을 획득하는 파일
5개의 필드값 (TYPE,Database,User,Address,Method) 로 구성
TYPE
Type
local |
host |
hostssl |
hostnossl |
hostgssenc |
hostnogssenc |
local은 localhost..host는 IP를 넣어줘서 설정할 때 쓰는 것 같아보임...
Database
연결할 수 있는Database 이름. 쉼표로 복수 지정 가능
Database
all | 복제(replication)을 제외한 모든 Database |
sameuser | 사용자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Database |
samerole | 연결하는 사용자가 연결하는 Database와 동일한 이름의 Role 구성원이여야 함 |
replication | 복제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의한 복제 연결 허용 |
별도 파일 | Database 이름을 포함하는 별도 파일을 @<파일이름> 으로 지정 가능 |
USER
연결할 수 있는 Role 지정. 쉼표로 복수 지정 가능
User
all | 모든 Role |
Database 사용자나 Group 앞에 + | 해당 User나 Group이 사용되고 있는 Role |
별도 파일 | Role 이름을 포함하는 별도 파일을 @<파일이름> 으로 지정 가능 |
예시)
ADDRESS
연결 가능한 Host 이름 및 IP 주소 범위.
ADDRESS
all | 모든 IP주소 |
samehost | 기동 중인 서버와 동일한 IP 주소 |
samenet | 기동 중인 서버와 동일한 네트워크 |
기타 | 10.10.20.13/24 or fe80:a4e8:f42d:2556:f68a/96 과 같이 사용 |
METHOD
데이터베이스 연결 시 인증방법 지정
METHOD
trust | 암호없이 연결 |
reject | 연결거부 |
scram-sha-256 | sha-256 방식으로 암호화 인증 |
md5 | md5 방식으로 암호인증 |
password | 암호 인증 |
'Postgresql, EPAS > 파라미터 튜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ostgreSQL 설치 시 OS 파라미터 튜닝 (0) | 2025.06.17 |
---|